Friday, March 25, 2022

교동도, 강화도

 2022년 3월 24일-25일

숙박: 강화평화빌리지(백련)

24일. 화개사-(다을새길 일부) - 고라니숲길 (왕복 약 3km)

25일. 대산저수지(숭뢰저수지) 한 바퀴(약 3.5km) - 평화전망대 - 고려천도공원- 연미정(월곶돈대) - 고려궁지

너무도 사랑하는 화개산 7부 능선길(화개사에서 출발)을 다시 찾다. 아직 봄 기운은 많이 느껴지지 않았지만(겨울 패딩이 적당할 정도), 길은 변함없이 호젓하고 편안하다. 대륭시장에서는 세게 불던 바람도 이 길에서는 저높이 나무 우듬지 위로만 불어지나가는 듯. 고라니숲길에서 발길을 돌리는 것이 못내 아쉬웠다. 어떤 블로그에 의하면 화개산을 한 바퀴 도는 데에 약 5.5km라니, 다음을 기약해보자.

평화빌리지는 글자그대로 펜션. 처음엔 실망스러웠으나 일출 무렵 주변의 대산저수지를 한바퀴 돌 수 있었던 건 정말이지 뜻밖의 선물이었다. 돌아오면서 보니, 뒷산(이라기보다는 아주 야트막한 야산, 다만 능선이 제법 길어보였다) 등산도 가능한 듯. 혹시라도 다시 여기 묵게 되면 한번 도전해봐야겠다.

평화전망대는 처음 찾는 곳. 아침 9시부터 입장이 가능하다. 교동도 전망대보다 북한땅을 훨씬 잘 볼 수 있는 듯. 날씨가 아주 좋은 편은 아니어서 선명하지는 않았지만, 산세며 해안선이며 제법 구별이 가능했다. 고려천도공원에도 들리다. 39년동안 강화로 도읍을 옮긴 와중에도 팔만대장경이며 고려청자며 문화를 꽃피웠다니 대단. 그 다음엔 연미정. 강화 8경중 하나답게 돈대 규모도 꽤 컸고, 조망(북한 포함)도 좋았다. 이번 여행의 컨셉(?) 답게 고려궁지까지 돌아보았다. 거기서 만난 모처럼 봄꽃. 산수유.




Friday, March 18, 2022

평화누리길 4코스 일부

 주차: 고양시정연수원(무료)

행주산성역사공원-행주나루터-평화공원-김포대교 못미쳐 턴 -다시 행주산성역사공원

원래 평화누리길 4코스는 행주산성 역사공원에서 일산 호수공원까지 걷는 길이지만, 왕복하기에는 너무 먼 거리라 중간에 돌아서다. 작년 이맘 때까지만 해도 행주나루터 부근에서 공사중이라 길이 막혀 있었는데 오늘 가보니 공사는 끝나고 길이 잘 정비되어 있었다. 글자그대로 평지로 죽 이어지는 길. 공사했던 건 아마도 평화공원 조성이었던 듯. 길이 단조롭게 느껴질 때는평화공원 쪽 샛길을 밟아봐도 좋겠다. 길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데, 호국로를 달리는 차소리는 아무래도 좀 버겁다. 나무들도 새로 심어서 울창한 느낌이 없고. 이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해결되겠지. 그런 아쉬움이 없진 않지만 정말 걸을만했다. 

아직은 봄 느낌이 많이 나지 않지만 멀리서 보면 나무들 가지가 연두색으로 밝아지는 게 완연히 느껴진다.

행주나루터 근처 작은 둔덕에서 너무도 예쁘고 앙증맞은 보라색 꽃을 발견했는데, 나중에 검색해보니 괭이나물 꽃인듯. 꽃말이 봄맞이라니 이 시기에 딱 맞다. 사진은 꼭 발로 찍은 것 같다.




Tuesday, March 15, 2022

영종도 예단포 둘레길, 세계 평화의 숲

 3월 15일

시원하게 뚫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영종대교를 달리며 모처럼 답답함을 풀어보다.

예단포항에 주차 역시 매우 여유로웠고, 제주의 섭지코지를 연상시킨다는 둘레길 역시 풍광이 좋았다. 다만 왕복 약 1km에 불과한 거리가 매우 아쉬웠다.

식사를 한 후(사람을 피해 별점이 가장 적은 식당을 찾아) 세계평화의 숲에 갔는데, 산책로는 참으로 좋았으나 영종해안북로를 씽씽 달리는 차소리 때문에 신경이 마냥 편하지는 않았다. 벚꽃 피는 계절에 오면 눈의 즐거움을 보장할 듯. 지금은 이제 물이 오르기시작한 듯 연두연두한 느낌뿐인 나무들이지만.

예단포항 둘레길을 걸을 땐 패딩이 딱이었지만, 평화의 숲을 걸을 땐 살짝 더웠다.




Tuesday, March 8, 2022

송강누리길

 2022년 3월 8일

출발/도착: 테마파크쥬쥬(주차장)

블로거들의 포스트를 믿으면 안 되겠다 생각한 길. 공사중이라 트럭의 왕래가 비교적 빈번하고 흙먼지가 장난 아니었다. 게다가 이정표는 어디 붙어있는지 너무 찾기 어려워 결국 월선대군사당으로 들어가는 길을 놓치고 말았다. 메타세콰이어 길은 이제 막 조성된 듯 (한쪽은 그나마 좀 나은데) 키도 작고 당연히 무성하지도 않았다. 평지 길을 비교적 오래, 왕복 약 6km 걸을 수 있다는 것 빼면 지극히 실망스러운 길. 다시 가지 않기 쉽지만, 어떤 길인지 알게 된 것이 소득이라면 소득.



멀리 북한산이 보인다. 이 경치를 보려고 갔건만...;;

Friday, March 4, 2022

아세안 자연휴양림

 2022년 3월 3일-4일

숙소: 캄보디아 1


재작년인가 갔을 때, 산책로가 다 폐쇄되어 걸을만한 데가 없었다. 숲속 산책을 휴양림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터라, 다시는 여기 오지 않을 거라생각했었는데, 어쩌다 다시 가게 되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산책로가 아주 마음에 들었다. 

이번에는 임도삼거리에서 5코스 쪽으로 올라가 6코스로 내려오는 순환 코스. 아쉽게도 7코스는 다음 기회로 미뤄야했다. 3월 초라 아주 춥지는 않았지만, 아직 새싹들이 올라오기 전이고, 군데군데 잔설도 눈에 띄었다. 4월쯤에 다시 와서 5코스와 7코스를 이어볼까 생각 중. 6코스는 계단이 몹시 가파르다는 것 잊지 말기.